검찰 개혁의 핵심 법안으로 평가되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신설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30일 저녁 4+1 협의체가 마련한 공수처법 수정안은 국회 기명 표결을 통해 전체 의원 295명 중 177명이 참여한 가운데, 찬성 160명, 반대 14명, 기권 3명으로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로써‘무소불위’검찰 권력을 견제할 필요성이 제기된 지 20여년 만에 새로운 수사기관이 탄생하게 됐다.
한때 한국당 의원들이 의장석을 둘러싸고 "문희상 사퇴! 독재 타도!"를 외치며 강력 저지했으나 질서유지권이 발동돼 문 의장에 대한 저지 시도는 무산됐다.
이어 본회의가 시작된 후 의석으로 돌아간 한국당 의원들이 무기명 투표를 주장했지만, 이 역시도 결국 기명 투표 요구 법안으로 맞선 민주당에 밀려 공수처법 저지에 실패했다.
이날 한국당과 바른미래당 비당권파 권은희 의원 등이‘다른 수사기관이 범죄를 수사하는 과정에서 고위공직자 범죄 등을 인지한 경우 그 사실을 즉시 공수처에 통보해야 한다’는 규정 등을 “독소조항”이라고 주장하면서 수정안을 냈지만 부결됐다. 결국 한국당은 공수처법 표결에 참여하지 않고 퇴장했다.
이로써 현 정부의‘1호 공약’으로 꼽히는 공수처는 시행 준비 등 절차를 거쳐 이르면 내년 7월쯤 신설될 전망이다.
법안에 따르면 공수처의 수사 대상은 대통령, 국회의원, 대법원장 및 대법관, 헌법재판소장 및 헌법재판관, 국무총리와 국무총리 비서실 정무직 공무원,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정무직 공무원, 판사, 검사, 경무관 이상 경찰공무원 등이다. 경찰·검사·판사에 대해선 공수처가 직접 기소하고 공소 유지도 할 수 있게 된다.
앞서 공수처는 지난 1998년 이회창 당시 한나라당 총재가 도입을 주장했고, 2002년 노무현 전 대통령도 대선 공약으로 제시한 바 있지만 논의에만 그쳐왔다. 공수처가 신설되면서 비대해진 검찰 권력을 견제하고 살아있는 권력에 대해 실질적인 수사를 할 수 있는‘제도적 장치’가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홍익표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고위공직자의 부정부패를 엄정하게 수사·기소함으로써 사회 전반의 투명성과 반부패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무엇보다 무소불위의 권한을 남용했던 검찰의 사법 불신을 해소하고 대한민국 법치를 바로 잡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30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자 “역사적인 순간이 아닐 수 없다”고 평가했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공수처 설치가 마침내 입법에 성공한 것은 국민들께서 특히 검찰의 자의적이고 위협적인 권한 행사에 대한 견제와 균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셨기 때문”이라 설명한 후 “공수처가 권력에 대한 견제와 균형이라는 시대적 소명을 완수함에 차질이 없도록 문재인 정부는 모든 노력과 정성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 밝혔다.
한국당은 본회의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위헌이 분명한 공수처법에 대해 헌법소원을 내겠다"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또, 2시간 넘게 의원총회를 열고 "불법 날치기에 분노를 참지 못한다"며 "'의원직 총사퇴'를 결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김현아 한국당 원내대변인은 “개혁으로 포장한 공수처가 정권비호를 위한 검찰수사 개입과 사법장악의 수단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여야는 내년 1월3일쯤 다시 임시국회를 소집해 검·경 수사권 조정안과‘유치원 3법’ 등 남은 패스트트랙 법안 처리를 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서도 한국당은 필리버스터 등 총력 방어에 나설 것으로 보여 새해에도 여야의 대치는 첨예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치안경찰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치 / 백승원 기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