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소비자물가 2.6%↑…5개월 연속 2%대 상승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2.6% 상승하며 5개월 연속 2%대를 기록했다.

농축수산물·석유류 가격의 강세가 이어지고 외식물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 7월과 같은 상승폭을 유지했다. 집세도 1.6% 올라 2017년 8월 이후 상승폭이 가장 컸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8.29(2015=100)로 1년 전보다 2.6% 올랐다. 이는 9년 1개월 만에 최대 상승률을 보였던 지난 5월, 7월과 같은 상승폭이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0.6%) 이후 2월(1.1%)과 3월(1.5%) 1%대 상승률을 나타냈다. 이후 4월(2.3%)부터 지난달까지 5개월 연속 2%대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다.

이 같은 상승세로 1~8월 평균 물가상승률이 2.0%를 찍었다. 최근 한국은행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기존 1.8%에서 2.1%로 상향한 가운데 지금과 같은 상승세가 연말까지 지속되면 이마저도 뛰어넘을 가능성이 크다.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7.8% 상승했다. 이 중 농산물 가격이 1년 전보다 7.1% 오르며 전체 물가를 0.32%p 끌어올렸다. 채소류가 전년보다 11.5%나 하락했으나 과실류 물가가 27.0% 올랐다. 과일 물가는 올해 2월(27.9%)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배추(-30.2%), 호박(-50.2%), 파(-32.9%), 고구마(-18.9%), 상추(-18.2%), 토마토(-14.4%), 오이(-13.6%) 등은 하락했으나 수박(38.1%), 고춧가루(26.1%), 시금치(35.5%) 등이 상승했다.

축산물 가격은 전년보다 12.5% 상승했다. 돼지고기(11.0%), 국산 쇠고기(7.5%), 달걀(54.6%) 등 가격이 올랐다. 다만 계란은 전월보다 1.5% 하락했다. 달걀 가격이 하락한 건 지난 4월(-0.7%) 이후 4개월 만이다. 수산물은 전년보다 0.9% 오르는데 그쳤다.

공업제품은 전년보다 3.2% 상승했다. 이는 2012년 5월(3.5%) 이후 9년 3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 국제유가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휘발류(20.8%), 경유(23.5%), 자동차용 LPG(25.3%) 등 석유류가 21.6% 상승했으며 빵(5.9%) 등 가공식품도 2.3% 올랐다.

전기료(-0.4%)는 내렸지만, 상수도료(1.4%), 도시가스(0.1%) 등이 오르면서 전기·수도·가스는 전년보다 0.1% 올랐다.

서비스물가는 1년 전보다 1.7% 상승했다. 고등학교납입금(-100%) 등 정부의 무상 교육 정책으로 공공서비스는 0.7% 내려갔으나 개인서비스 물가가 2.7% 올랐다.

외식물가는 2.8% 오르고 공동주택관리비(5.3%), 보험서비스료(9.6%) 등 외식 외 물가도 2.7% 올랐다.

집세는 1.6% 오르며 2017년 8월(1.6%) 이후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이 중 전세가 2.2% 올라 2018년 1월(2.2%) 이후 3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월세 상승률은 0.9%로 2014년 7월 이후 7년 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체감지수인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3.4% 상승했다. 지난 5월(3.3%), 6월(3.0%), 7월(3.4%)에 이어 4개월 연속 3%대 상승률을 보였고,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1% 올라 오름폭이 축소됐다.

기획재정부는 9월 소비자물가는 추석 전 성수품 공급 확대 등 하방요인과, 명절수요 및 국제유가 추가 상승 가능성 등 상방요인이 병존한다고 전망했다.

기저효과 완화, 추석 전 성수품 공급 확대, 수확기 도래에 따른 농산물 수급여건 개선 등이 하방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달 상승폭이 컸던 잎채소의 경우 생육기간이 짧아 다음달부터 가격 안정이 예상되지만, 명절수요 및 가을장마·태풍, 국제유가 추가 상승 가능성 등 상방압력도 상존한다고 분석했다.

기획재정부는 추석명절을 앞두고 서민 생활물가가 안정될 수 있도록 명절기간 농축수산물 수급관리에 총력 대응하기로 하고,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중심으로 가격·수급동향 및 ‘추석 민생안정대책’ 이행상황을 매주 점검하고, 필요 때 추가 대응방안도 강구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치안경찰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제 / 박영무 기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