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수용성’ 연령 낮을수록 높아…성인·청소년 격차 더 커져

지난해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결과, 2018년 대비 청소년은 상승하고 성인은 하락해 청소년과 성인 간의 격차가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1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지난 2012년부터 시작된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는 3년 주기로 실시되고 있으며, 국민의 다문화수용성 정도를 파악해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이 조사는 ▲(다양성)문화개방성, 국민정체성, 고정관념 및 차별 ▲(관계성)일방적 동화 기대, 거부·회피 정서, 교류행동의지 ▲(보편성)이중적 평가, 세계시민 행동의지 등 8개 요소로 구성됐으며, 8개의 구성 요소별로 측정해 종합지수를 산출하고 다문화사회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수록 높은 점수가 나타난다.

이번 ‘2021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는 중·고교 학생 5000명과 19~74세 성인 5000명 등 총 1만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성인의 다문화수용성은 52.27점으로 청소년(71.39점)에 비해 19.12점 낮게 나타났다. 또 2018년에 비해 성인은 낮아지고 청소년은 소폭 상승해 성인과 청소년 간 격차가 0.71점 더 확대됐다.


또한 성인과 청소년 모두 연령이 낮을수록 다문화수용성이 높게 나타났다. 성인은 20대 54.40점, 30대 52.98점, 40대 52.77점, 50대 51.80점, 60대 이상 49.98점이었으며, 청소년은 중학생 73.15점, 고등학생 69.65점으로 집계됐다.

2018년 대비 20~40대는 하락한 반면, 50대 이상은 상승했다. 특히 50대 이상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다문화수용성의 절대적인 수준은 낮지만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며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청소년 중 중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은 상승한 반면, 고등학생은 하락해 그 전 조사에 비해 학교급별 격차가 0.31점에서 3.5점으로 확대됐다.

아울러 코로나19의 확산이 이주민과의 교류 기회를 줄이고, 외부에 대한 개방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3년간 이주민에 대한 한국사회의 인식이 변화했다는 응답자(42.6%)를 대상으로 변화 요인에 대해 질문한 결과, ‘코로나 발생 상황’을 가장 크게 꼽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국가 간 인구 이동이 코로나19 초기 확산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만큼, 코로나19 상황이 이주민에 대한 인식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성인과 청소년 모두 다문화수용성을 측정하는 문화개방성 등 8개의 구성요소 중 ‘외부에 대한 개방성’과 관련한 세계시민 행동의지, 교류행동의지, 문화개방성의 점수가 하락했다.

길거리 등 일상생활에서 이주민을 ‘본 적 없다’는 응답의 경우에는 성인 12.4%, 청소년 18.9%로 이전 조사와 비교해 각각 2배 이상 증가했다.

일상에서 이주민을 자주 볼수록 다문화수용성이 높아지는 경향성이 있음을 고려할 때 코로나19 확산과 거리두기로 이주민을 만나는 빈도가 줄어들면서 성인의 다문화수용성 하락 및 청소년 다문화수용성 상승폭 감소의 한 원인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여가부는 전했다.

이와 함께 ‘이주민과 친교관계를 맺고자 하는 의지’를 의미하는 ‘교류행동의지’에서 성인은 8개의 구성요소 중 가장 낮은 반면, 청소년 90% 이상은 ‘다문화학생이 같은 반이나 친구가 되는 것’에 대해 대부분이 불편하지 않다고 응답하는 등 교류행동의지가 높게 나타났다.

성인의 다문화교육 참여율은 5.2%로 이전 조사에 비해 0.6%p 늘었으며, 청소년은 지난 1년간 다문화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는 응답이 53.6%로 20%p 이상 증가했다. 성인과 청소년 모두 다문화교육 참여자의 수용성점수가 미참여자보다 각각 4.86점, 2.38점 높아 이전 조사에 이어 다문화교육 참여가 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가부는 ‘2021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정책을 점검하고 다문화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찾아가는 다문화 이해교육’을 강화하고 대상별 콘텐츠 개발 및 전문 강사 양성교육을 통해 교육의 질을 높이는 동시에, 교류·소통공간 80곳을 운영하고 ‘찾아가는 결혼이민자 다이음’ 사업 기간을 10개월로 확대하는 등 다문화친화활동도 활성화한다.

정부 정책에서 다문화 차별적인 요소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책 자문을 시행하는 등 다문화영향평가도 추진하고, 공익광고·라디오매체 등을 활용한 국민 인식개선 캠페인 등을 진행한다.

정영애 여가부 장관은 “다문화 이해교육 및 활동 참여가 다문화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연령별 다문화 이해교육을 더욱 강화하고, 교류·소통 기회를 늘려감으로써 우리 사회의 다문화수용성을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치안경찰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회부 / 이병식 기자 기자 다른기사보기